ㆎ사르포그렐레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ㆍ사르포그렐레이트는 혈액 중 혈소판이 응집되는 것을 막아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혈소판제입니다.
당뇨병성 말초혈관질환 등 말초혈관 폐쇄에 의한 증상을 개선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ㆍ사르포그렐레이트 효능
혈전은 혈관 속에서 혈액이 굳어진(응고된) 덩어리 입니다.
혈전 생성은 보통 혈관 손상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생기며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의 두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혈관에 손상이 생기면 먼저 혈구 세포의 하나인 혈소판이 손상 부위에 부착되어 덩어리를 만들고 그 후에 응고 인자인 여러 단백질들이 연쇄반응을 일으켜서 최종적으로 피브린 섬유소 망을 형성함으로써 혈액을 응고시킵니다.
체내에서 생성된 혈전은 보통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소멸되나, 병적으로 생성이 증가한 경우에는 혈관을 막아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게 됩니다.
당뇨병성 말초혈관병증은 당뇨병이 지속된 경우에 다리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다리로 가는 혈액의 흐름이 감소된 상태 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다리에 통증이 생기고, 상처나 감염의 치유가 늦어지게 되며, 악화되면 조직의 괴사가 진행됩니다.
사르포그렐레이트는 혈관 평활근(혈관벽을 구성하는 근육)과 혈소판에 작용하여 혈관수축 및 혈소판의 응집(뭉침)을 막아 혈전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혈전 생성을 억제해 만성 동맥폐색증(버거씨병, 폐색성 동맥경화증, 당뇨병성 말초혈관병증 등)에 의한 궤양, 통증 및 냉감(차가운 느낌) 등 혈액 공급이 부족해서 생기는 허혈성 증상 개선에 사용됩니다.
제품으로는 안플라그정, 안플레이드정, 안프란정, 안티코아정, 안플리코정, 비나크린정, 사플라그정 등이 있습니다.
ㆍ사르포그렐레이트 용법
1회 100mg을 1일 3회 식후 복용합니다.
증상에 따라 용량을 증감합니다.
서방정(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는 정제)의 경우에는 300mg을 1일 1회 식후에 복용하며, 씹거나 부수지 말고 그대로 복용합니다.
ㆍ사르포그렐레이트 금기사항
출혈이 있는 환자(혈우병, 모세혈관위약증, 소화관궤양, 요로출혈, 객혈, 안구 내 유리체출혈 등)가 복용 시 출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복용하면 안 됩니다.
ㆍ사르포그렐레이트 주의사항
생리기간 중에는 출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가 복용 시 출혈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항응고제(와파린 등) 또는 혈소판 응집억제작용이 있는 약제(아스피린, 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등)와 함께 복용 시 출혈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중증의 신장애가 있는 환자는 배설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사르포그렐레이트 복용 중에는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ㆍ사르포그렐레이트 부작용
[드문 부작용] : 사용자 1% 미만
출혈 경향(소화관출혈, 뇌출혈, 피하출혈 등), 혈액장애(무과립구증, 빈혈,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등), 간기능 장애, 황달, 홍반, 두드러기, 발진, 발적, 구토, 구내염, 구역, 식도이물감, 가슴쓰림, 복통, 변비, 심계항진(가슴두근거림), 호흡곤란, 가슴통증, 안면홍조(얼굴 붉어짐), 손의 부종, 졸음, 미각이상, 두통, 단백뇨, 신기능 장애 등
ㆍ사르포그렐레이트 상호작용 약물
[사르포그렐레이트 상호작용 약물]
ㆍ참 고
✅ : 혈관염, 척추협착증 치료 리마프로스트 「오팔몬정」 효능과 부작용
✅ : 항혈소판제「아스피린, 디스그렌, 플라빅스, 안플라그 등」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