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띠 약 종류 「리도멕스,하티손,버물리」 효능과 부작용 알아보기

ㆎ땀띠 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ㆍ땀띠약은 과도한 땀이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한 피부의 작은 수포성 발진인 땀띠를 치료하는 약을 말합니다.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제, 통증을 완화시키는 국소마취제, 항염제 등이 함유된 복합제가 주로 사용되며, 함유 성분 중 피부를 화끈거리게 해서 가려움을 감소시키는 DL-캄파가 함유된 제품은 30개월 미만의 소아에게는 사용하면 안 됩니다.


ㆍ땀띠 왜 생기나요?

땀띠는 땀이 배출되는 통로인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막히면서 땀이 만들어지는 땀샘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말합니다. 땀관이나 땀관 구멍이 막히는 원인으로는 습열, 자외선, 반창고 등에 의한 자극이나 비누의 과다사용, 세균감염 등의 외적인 요인과 많은 양의 땀, 피지 생성 감소 등의 내적인 요인이 있습니다.

아기들은 어른에 비해 땀샘의 밀도가 높고 표면적당 발한량(땀배출량)이 2배 이상이기 때문에 땀띠가 잘 생깁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울 모양의 수포가 생기며, 가려울 수 있으며 따끔거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얼굴, 목, 가슴, 겨드랑이에 발생합니다.

땀띠약은 가려움, 염증반응을 경감시키는 약물을 사용합니다. 가려움증과 염증반응이 동반된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에 국소마취제, 피부염 치료제, 발적제(혈관을 팽창시켜 피부를 붉게 만드는 성분) 등의 성분이 함유된 복합제를 사용합니다.

염증이 심해지게 되면 약한 부신피질호르몬제 외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 성분의 단일제를 사용할 경우 의사나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 후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땀띠

[땀띠 종류]

ㆍ땀띠 약 종류

땀띠약에는 항히스타민제, 국소마취제, 자극성 피부염 치료제, 피부 발적제, 청량제, 상처, 궤양 치료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복합되어 있습니다. 가려움증,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제가 주성분으로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 : 버물리, 물린디

국소 부위에서 히스타민의 작용을 차단하여 가려움증,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므로 땀띠약의 주성분으로 사용됩니다. 버물리, 물린디 등 일반적으로 벌레 물린데 바르는 약에도 주성분으로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되어 있어 땀띠약으로도 사용됩니다.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등의 성분이 사용되고, 아래의 기타 가려움증, 염증을 진정하는 약물들과 복합제로 많이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된 외용제를 생후 1개월 미만의 소아에게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국소마취제]

신경 자극의 발생과 전도를 억제함으로써 가려움증이나 통증을 완화시키므로 항히스타민제의 보조 목적으로 복합제에 사용됩니다. 디부카인, 리도카인 등이 사용됩니다.

[자극성 피부염 치료제]

자극 완화, 항염, 진통 작용을 나타냅니다. 감초에서 추출된 에녹솔론(글리시레틴산), 글리시리진산 등이 사용됩니다.

[피부 발적제]

피부를 화끈거리게 해서 가려움증을 감소시킵니다.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DL-캄파 등이 사용됩니다.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은 피부에 흡수되면 통증을 유발하는 화학 매개물질 생산에 관여하는 COX 효소를 억제하여 진통 효과도 나타냅니다. DL-캄파는 30개월 미만의 소아에서 경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약물이 포함된 제품은 30개월 미만의 소아에게 사용하면 안 됩니다.

[청량제]

피부를 시원하게 하여 가려움증을 감소시킵니다. 주로 L-멘톨이 사용됩니다.

[상처, 궤양 치료제]

손상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킵니다. 덱스판테놀이 주로 사용되는데 피부에서 판토텐산으로 전환되어 작용을 나타냅니다. 소아용 크림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 : 리도멕스, 하티손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스테로이드제로도 불리며, 화학적인 염증 매개물질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고, 림프계의 활성과 용량을 감소시켜 면역계를 조절해 염증반응을 억제합니다. 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 등이 사용됩니다. 리도맥스, 하티손 등의 부신피질호르몬제 성분 단독 제품은 약국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살 수 있고,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된 기타 땀띠약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타]

칼라민은 소량의 산화철을 포함한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며 피부 수렴, 보호 작용이 있어, 의약외품으로 분류됩니다.

땀띠 약 땀띠 약

[땀띠 약 종류]

ㆍ땀띠 약 금기사항

DL-캄파는 소아에게서 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DL-캄파를 함유하고 있는 복합제는 30개월 이하의 소아에게 사용하면 안됩니다.

소아용 항히스타민제 함유 복합제 크림을 생후 1개월 미만의 소아에게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눈 주위, 점막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눈에 들어간 경우 즉시 물로 씻어야 합니다. 습진, 상처 부위,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특히 벗겨진 피부 표면 또는 물집이 있는 부위에 다량을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가 함유된 제제는 환부가 광범위한 경우, 수두, 무좀, 백선, 화농(고름)이 있는 부위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ㆍ땀띠 약 부작용 및 주의사항

땀띠약 사용 시 부작용으로 발진, 발적, 가려움,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땀띠약을 사용한 후 발진, 발적, 가려움,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와 5∼6일간 사용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다른 약이나 화장품 등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발진, 발적, 가려움, 부종 등)이 나타난 적이 있는 사람, 습윤이나 짓무름, 염증이 심한 사람,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소아용 항히스타민제 복합제 크림을 6세 미만의 영·유아에게 사용할 경우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아기의 경우 땀띠가 난 경우에 베이비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많이 바르면 오히려 땀관 구멍을 막아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또 땀이 너무 많이 나는 경우 접히는 부위에 파우더를 바르게 되면 세균 증식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부위를 잘 고려하여 바르도록 합니다.

ㆍ참 고

✅ : 습진 연고 「더모베이트, 페니라민, 리도멕스, 프로토픽」 효능과 부작용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