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제 종류 「케타민, 프로포폴, 벤조카인, 알카인, 리도아가아제」 작용과 부작용

ㆎ마취제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ㆍ마취제는 전신 혹은 특정부위를 의식, 감각, 운동 및 반사행동이 없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약입니다.

크게 전신마취제와 국소마취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제는 정맥투여 또는 흡입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국소마취제는 마취 효과를 원하는 범위에 따라 투여 방법을 달리합니다.



ㆍ마취제 작용

마취제는 전신 혹은 특정부위를 의식, 감각, 운동 및 반사행동이 없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약입니다.

마취제는 크게 전신마취제와 국소마취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제

전신마취제는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하여 의식과 전신적인 지각을 상실하게 하는 약입니다.

정맥으로 투여되는 마취제는 뇌에서 억제성 신호를 전달하는 가바(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중추신경을 억제하거나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NMDA 수용체를 억제하여 중추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수면, 진정, 마취작용을 나타냅니다.

호흡기를 통해 폐로 흡입시키는 마취제는 폐포의 모세혈관을 따라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운동 및 지각신경의 전도를 차단시킵니다.

국소마취제

국소마취제는 의식이 깨어 있는 상태에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만 약물을 투여하여 원하는 좁은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약입니다.

해당 부위의 신경세포막에 존재하는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여 나트륨(Na)의 이동을 막음으로써 신경전도를 차단합니다.

마취를 원하는 부위의 혈액 흐름을 줄이면 국소마취제가 더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어 작용지속시간이 길어지는데 이를 위해 혈관수축제를 함께 사용하기도합니다.

ㆍ마취제 종류

전신마취제

전신마취제는 수술, 검사 및 외과적 처치 시의 전신마취의 유도 또는 유지를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전신마취제는 투여경로에 따라 크게 정맥마취제와 흡입마취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정맥마취제와 흡입마취제를 조합하여 사용하기도합니다.

정맥마취제는 정맥 내로 투여하는 마취제로 중추신경을 억제함으로써 수면, 진정, 마취 효과를 나타냅니다.

수술하는 동안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기억, 운동반사를 소실시키며, 골격근을 이완시킵니다.

일부 정맥마취제들은 약물 의존성과 남용의 위험이 있어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정맥마취제로는 치오펜탈(펜토탈), 펜토바르비탈(엔토발), 에토미데이트, 케타민, 프로포폴(포폴)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흡입마취제는 산소와 휘발성이 있는 마취제를 혼합하여 인공호흡기를 통해서 폐로 투여하는 마취제로 신속하게 작용이 나타나고 작용 기간을 조절하기 쉬우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흡입마취제로는 데스플루란(슈프레인), 엔플루란(게로란), 이소플루란(아이프란), 세보플루란(세보레인)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소마취제

국소마취제는 화학 구조에 따라 크게 에스테르형과 아마이드형으로 나누어집니다.

에스테르형 국소마취제는 혈장의 콜린에스테라제에 의해 신속하게 분해되어 작용지속시간이 비교적 짧습니다.

에스테르형에는 벤조카인(허리케인), 옥시부프로카인(베노카인), 푸로파라카인(알카인), 프로카인이 치과, 구강, 안과용 등 국소마취에 사용됩니다.

아마이드형 국소마취제는 간의 시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비교적 길게 작용합니다.

아마이드형에는 로피바카인(나로핀), 리도카인(맥스카인, 리도아가아제), 메피바카인(엠카인), 부피바카인(마케인헤비), 레보부피바카인(카이로케인)이 국소 마취에 사용됩니다.

ㆍ마취제 용법

전신마취제

정맥마취제는 대부분 정맥주사로 투여합니다. 약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근육주사, 직장내 주입 방법으로 투여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흡입마취제는 특수하게 제작된 기화기를 사용하여 산소 또는 산소·아산화질소 혼합가스와 함께 흡입을 통해 투여합니다.

국소마취제

표면마취 : 피부나 점막에 바릅니다.

침윤마취 : 수술부위 피부 아래에 직접 주입합니다.

영역차단 : 수술부위를 둘러싸게끔 국소 부위를 마취합니다.

말초신경차단 : 신경 근처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부위를 마취합니다.

척추마취 : 척수액 안에 주입하여 말초신경의 시작 부위를 차단합니다.

경막외마취 : 척추관 안에 있는 경막외강(빈 공간)으로 주입합니다.

정맥부위마취 : 지혈대로 팔이나 다리의 혈액 흐름을 차단한 후 국소마취제를 정맥에 투여합니다.

ㆍ마취제 주의사항

전신마취제

중증의 호흡 기능 저하 환자, 알코올 중독 환자 또는 다른 약물을 남용한 적이 있는 환자는 투여하면 안 됩니다.

마취를 하기 전에는 일정 시간 동안 금식해야합니다.

호흡억제 또는 혈압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투여 시 충분히 관찰해야합니다. 또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산소호흡기 등 인공호흡에 필요한 기구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에서 숙련된 마취과 의사에 의해 투여되어야합니다.

각성이 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자동차운전 등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을 하면 안 됩니다.

바르비탈류, 케타민, 프로포폴 등 일부 정맥마취제는 지속해서 투여시 약물의존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해야합니다.

지속해서 투여하다가 투여를 감소시키거나 중지하면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천천히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해야합니다.

국소마취제

최대 허용범위 안에서 최소한의 국소마취제를 마취 종류와 부위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하며, 약물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충분히 기다려야합니다.

작용지속시간 연장을 위해 에피네프린과 같은 혈관수축제를 병용할 수 있으나 1:200,000~1:500,000 이상의 비율로 사용하지 않으며 귀, 코, 음경, 손가락 등 신체 끝부분에는 사용면 안 됩니다.

ㆍ마취제 부작용

전신마취제

전신마취제 투여 시 약물에 따라 빈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호흡억제, 저혈압, 부정맥, 구역, 구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각성시 대부분 구역, 구토,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일부 약물에서는 흥분, 초조, 착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바르비탈류, 케타민, 프로포폴 등의 약물은 전신마취 이외의 목적으로 남용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에서는 의존성과 내성이 나타나며, 지속적으로 투여하다가 중단하게 되면 금단증상이 나타나므로 주의해야합니다.

마취 중에 갑자기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악성고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와 동반하여 호흡이나 맥박이 빨라지고 근육이 경직되거나 과도한 긴장상태가 되고, 대사성 및 호흡성 산증,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국소마취제

많은 양의 국소 마취제가 우발적으로 혈액 속으로 주입된 경우에 중추신경계와 심혈관계에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중추신경계와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추신경계의 경우 보통 흥분 증상(불안, 어지러움, 경련 등)이 나타나다가 억제 증상(졸음, 무의식, 호흡억제 등)이 나타납니다.

심혈관계의 경우 심박동이 느려지거나 부정맥,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ㆍ참 고

✅ : 마취제 「프로포폴」 느낌과 효능, 부작용 알아보기

✅ : 수면유도제「미다졸람」효과와 부작용 알아보기


ㆍLee. 약약약

네이버 지식iN 의약품, 약 효능, 성분 분야에서 “약약약” 으로 활동 중

더 궁금하신 내용은 지식iN 1:1 질문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항상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Leave a Comment